토끼머리2007. 2. 22. 16:07

사용자 삽입 이미지
 
내 기억에 10년 전만 해도 분명히 '에반게리온' 정도만 봐주면 '취향이 괜찮은 사람' 취급을 받곤 했다. 당시에는 사실 별로 봐야 할 것도, 알아야 할 것도 적었기 때문에 TV 드라마 쯤은 무시해도 괜찮았다. 그런데 세상이 변하면서 요즘엔 툭하면 시대에 뒤떨어진, '몰 취향'의 사람 취급을 당한다. 이 유명한 프리즌 브레이크도 이제서야 보기 시작했으니...

유재석이었나? 하여튼 그런 개그맨이 누군지 몰랐다는 이유로 "간첩이 아니냐?"는 소리를 들어야 했고, '석호필'이 미국인이라는 것을 뒤늦게 깨닫고 어이없어 하다가 주위 사람들이 날 더 어이없이 쳐다봤다. 요샌 아예 '미드족'이란 것도 생겨서 '미'국 '드'라마를 열심히 본다던데, 알고보니 내 동생같은 사람들을 말하는 것 같다. 세상을 따라잡기가 이렇게 힘들어서야. 나름 극장에서 영화는 열심히 보고 있는데, 내 주위 사람들은 이미 '아버지의 깃발'과 '이오지마로부터 온 편지'를 모두 보고서는 클린트 이스트우드에 대해 열띤 논쟁을 벌이고 있다. 아, 정말, 개봉도 하지 않은 영화 인터넷으로 먼저 보고선 뭐가 자랑이라고,,, 라고 생각했으나, 나만 이상한 사람이 돼 버린 것이다.

최근엔 한국 드라마까지 날 가슴아프게 한다. '거침없이 하이킥'이라거나 '궁'과 같은 걸 본 적이 없다는 사실이 죄는 아닌데도 말이다. 분명히, 10년 전에는, 논쟁의 중심에 있는 일본 애니메이션 몇 편과, 선댄스 영화제 출신의 영화만 꾸준히 봐주면 '괜찮은 취향을 가진 사람' 대접을 받았던 것으로 기억한다. 요즘 그러고 있다가는 한물 간 30대 취급 받기 딱이다. 아니, 내가 이미 그렇게 돼 버린 것인지도 모르지. 21세기는 어렵다. 정말.

Posted by 흰솔
Purslane/극장대기실2007. 2. 22. 00:17

사용자 삽입 이미지

1999년 3월 강남구 신사동에 <클래식시네마 오즈>가 개관했다. 고전영화만을 상영하겠다는 취지로 도로시관과 토토관 각각 200여석정도의 소규모 상영관으로 시작했다. 고전영화중에는 미개봉작들도 많았으므로 판권과 자막작업등의 초기비용의 문제로 연회비 4만원정도에 회원을 모집하기도 했다.

당시 나는 여의도에서 회사를 다니고 있었고, 꿀단지라도 만난 것처럼 얼른 회원에 가입했다. 극장은 여의도에서 가깝지 않았고, 집에서도 가깝지 않았지만 10~11시에 영화가 끝나더라도 별로 피곤하지 않았다. 커다란 스크린에서 <이지 라이더>나 <웨스트사이드스토리>를 보고 돌아가는 길은 뿌듯하기도 했다.

그러나 오즈는 채 일년도 지나기 전 경영에 어려움을 보였고, 2년을 넘기지 못하고 일반 상영관으로 전환해야 했다. 더 이상 클래식영화는 볼 수 없게 되었고, 이후로 지금까지 상영은 계속되고 있다. 판권문제를 해결하는데 어려움을 겪었을 것은 물론이고, (그놈의) 스크린쿼터가 예외없이 적용되었을 것이다.

2003년부터 영화진흥위원회는 아트플러스 시네마네트워크를 운영하기 시작했다. 이는 11개 예술영화 전용관에 보조금을 지급하면서 예술 영화 상영을 지원하자는 취지에서 시작되었다. 영진위는 1년에 7천7백만원을 보조하는 대신 연간 상영일수의 5분의 3(219일) 이상을 예술 영화 상영에 할애할 것을 의무화했다. 더불어 스크린쿼터제에 따라 국내 예술영화 의무상영일수(106일)도 지키도록 했다.

실질적으로 국내 예술 영화가 106일을 상영할 수 있을 정도로 많은지도 의문이거니와 예술 영화의 기준도 사실상 매우 모호하다. 지속적으로 제기된 이와 같은 문제는 최근 국내 예술 영화 상영일수는 70일로 줄이고, 예술영화의 범주에 영화진흥위원회에서 제작지원하고 배급을 지원하는 작품, 국내 에니메이션, 서울지역 시장점유율 1%이내인 국가의 작품 등이 해당하는 영화를 포함하기로 결정되었다.

코아아트홀은 결국 경영난을 해결하지 못하고 폐관했으며, 서울아트시네마는 겨우 명맥을 유지하며 필름포럼과 함께 허리우드 극장의 한 개관을 대여했다. 종로 주위의 극장들은 멀티플랙스로 전환하여 최근 속속 재개관하고 있다. 영화진흥위원회가 서울아트시네마를 위탁 운영하는 한국시네마테크협의회에 지난해 지원한 금액은 3억 4천 4백만원이다. 여기에는 전용관 임대료와 번역 자막지원 등 프로그램 기획 지원금만 포함 되어있기 때문에 필름을 수급하고 상영하는 데 드는 모든 운영비는 자체 사업을 통해 마련해야 하는 형편이다.

우리나라처럼 거대배급사가 멀티플렉스 극장 대부분을 점유하고 있는 한 상영관 독점은 쉽게 사라지지 않을 것이다. 10개 상영관에서 10개 영화를 볼 수 있으리라는 순진한 꿈은 사라진지 오래이고, CGV에서는 CJ엔터테인먼트 영화가, 메가박스에서는 쇼박스 영화가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폭력에 관객은 영화를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선택된 영화를 보고있다.

고전영화, 예술영화는 늘 어렵고 따분하지 않다. 소수 시네필들의 전유물도 아니다. 단관 장기상영으로 새로운 상영방식을 모색했던 김기덕 감독의 <활>은 극장측의 변심으로 2주만에 내려왔으며, 홍상수 감독의 <극장전>은 좋은 관객의 호응에도 불구하고 손익분기점을 넘기는 것이 불가능해보인다. 대안을 찾던 두 영화의 참패는 씁쓸하다. ‘오즈’가 반복되지 않기를 바란다.

Posted by Purslane
Purslane/극장대기실2007. 2. 22. 00:16
사용자 삽입 이미지

아치와 씨팍

Posted by Purslane